본문 바로가기

돈되는 경제

국민연금 가입 대상과 신청 방법 및 수령시기, 수령액 알아보기

국민연금의 필요성과 가입 대상과 신청 방법 및 수령시기, 수령액 알아보기

국민연금, 왜 중요한가요?

국가가 알아서 굴려주는 국민연금은 우리가 가장 무심하기 쉽습니다. 

하지만 국민연금도 제대로 이해하고 관리하지 않으면 '평생월급'은 남 일일 뿐입니다. 

국민연금 기금이 줄어들고 있어 노후에는 적을 수도 있지만, 예상액을 미리 따져보고, 내 노후를 맡기기 불안하다면 다른 사적연금 가입과 함께 고려해 봐야 합니다. 

국민연금은 기본 중 기본이라고 생각하고, 일단 국민연금에 들고 퇴직연금, 개인연금을 얹어 3중 안전장치를 갖추도록 합니다. 

국민연금의 장점으로 물가상승률이 반영된다는 점, 평생지급이 보장된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. 

 

국민연금 가입대상

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이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. 

회사에 다니거나 개인사업을 하며 소득이 있으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. 

1) 사업장가입자

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사용자 및 근로자로 지역가입자가 사업장에 취업을 하면 자동으로 '사업장가입자'가 됩니다. 

회사와 내가 반반씩 나눠 연금을 내는 것으로 회사와 내가 각각 월평균 소득의 4.5%씩 내는 것입니다. 

2) 지역가입자

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으로 사업장가입자가 아닌 사람, 주로 소득이 있는 자영업자, 프리랜서 등 개인사업을 하는 사람은 '지역가입자'라고 부릅니다. 

이 경우에는 본인이 돈을 내야 하며 전업주부처럼 소득이 없어 국민연금 의무가입자가 아니라면 임의가입자가 될 수 있습니다. 

3) 임의가입자

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으로 사업장가입자 및 지역가입자가 아닌 경우, 자신이 선택해 가입자가 됩니다. 주로 소득이 없는 전업주부, 18세 이상의 학생 등입니다. 

4) 임의계속가입자

만 60세가 되었는데 가입기간이 워낙 짧아 걱정이라면 신청하여 돈을 더 낼 수도 있습니다. 

단, 65세 전까지만 신청이 가능하며, 이런 사람들을 '임의계속가입자'라고 합니다. 

60세면 가입이 종료되지만 더 가입하기로 결정한 사람들로 이들은 보험료를 전액 내야 합니다. 

 

국민연금 신청방법

1. 온라인 신청
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(www.nps.or.kr) 에서 회원 가입 후, 본인 확인을 완료하면 온라인으로 가입 신청할 수 있습니다. 

마이페이지에서 인증서 및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후, 가입 신청 메뉴에서 가입 신청할 수 있습니다. 

2. 방문 신청

가까운 국민연금센터, 지사, 지청 또는 국민연금공단 상담소를 방문하여 가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. 

신청 시 필요한 서류와 본인 확인용 신분증을 준비해야 합니다. 

 

신청과정에서 어려움이 있거나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, 국민연금공단 콜센터(☎ 1355, 02-2176-2150)에 전화하거나 국민연금 공단 홈페이지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

 

신청 후 가입이 승인될 때까지 약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. 

승인이 완료되면 본인이 신청한 계좌로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며, 국민연금 가입 신청이 완료되면 본인에게 국민연금 가입증이 발급됩니다. 

 

국민연금 수령시기

제도에 따라 연금을 받는 나이는 조금씩 달라집니다. 

2012년까지는 만 60세부터 연금을 받았습니다. 

하지만 그 다음해부터는 수급 나이가 5년 주기로 1세씩 높아지고, 1969년 생 이하는 모두 만 65세부터 연금을 받게 됩니다. 

 

국민연금 수령액

국민연금 수령액은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과 내가 가입한 기간의 평균 소득 월액 및 가입기간 등을 고려해 결정됩니다. 

물론 돈을 많이 벌어 평소에 많이 내면 노후의 연금액도 많아집니다. 

고소득자라고 막대한 보험료를 낼 수 있는 것은 아니며, 월 보험료에도 하한과 상한이 있습니다. 

또 소득에 비례해 연금액이 치솟지는 않습니다. 

연금수령액은 전체 가입기간 평균소득이나 마지막 5년간의 평균소득을 넘어설 수 없습니다. 

이는 모두 소득재분배 효과를 위해서입니다. 

내가 65세가 될 때까지 매월 얼마나 받게 될지 미리 파악해 둘 필요가 있으며, 마음 놓고 있다가 너무 늦게 깨달으면 노후에 너무 궁해질 수 있습니다. 

지금까지 납부한 보험료는 PC나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PC로 보려면 '내연금' 홈페이지 (csa.nps.or.kr)에 접속해 로그인을 해봅시다. 

이어 '국민연금 알아보기', '가입내역조회'를 거치면 되며 스마트폰에서는 애플리케이션 '내 곁에 국민연금'을 내려받으면 됩니다.